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SAP MM 스케줄 어그리먼트(Scheduling Agreement)

ChatGPT 와 파이썬

by 마리우치 2025. 7. 12. 16:43

본문

반응형

SAP MM 스케줄 어그리먼트(Scheduling Agreement) 💼

정기 납품 계약, SAP에서는 이렇게 관리해요!

Scheduling Agreement란?

Scheduling Agreement는 SAP MM에서
📦 특정 자재를 정기적으로, 정해진 일정에 따라 공급받는 장기 계약입니다.

❝ 단발성 계약이 아니라 반복되는 납품을 시스템에 자동으로 설정해두는 기능이에요. ❞

 

쉽게 말해, 한 번 계약해두면 매번 PO를 만들 필요 없이
자동으로 납기 스케줄(Schedule Line) 을 따라 납품이 진행됩니다.

 

 

 

어떤 상황에 사용할까요?

✔️ 생산공정에 자주 들어가는 포장재, 부품, 필름
✔️ 일정 주기로 납품받는 소모성 자재
✔️ 매달, 매주 고정 수요가 있는 자재에 적합!

💡 반복 납품 + 자동화 = 스케줄 어그리먼트 도입 타이밍!

 

 

 

기본 구성 요소는?

항목설명
계약 번호 ME31L에서 생성한 어그리먼트 번호
공급처 납품할 벤더
자재 정보 자재 번호, 플랜트 등
납기 일정 Schedule Line에 수량과 날짜 입력
유효 기간 계약이 유지되는 시작일/종료일
 

 

 

 

생성 T-code는?

  • 계약 생성: ME31L
  • 계약 수정: ME32L
  • 계약 조회: ME33L

🎯 필수 필드:

  • Document Type (예: LP – Local Scheduling Agreement)
  • Vendor
  • Material
  • Purchasing Org & Group
  • Agreement Validity Dates

❝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소싱에서 제외되므로 날짜 설정에 주의하세요! ❞

 

 

 

납기 일정(Schedule Line)은 어떻게 입력하나요?

  • 계약 생성 후, Delivery Schedule 탭에서
    수량, 납품일자를 입력해요.

예시:

납기일자수량
2025.06.10 1,000개
2025.06.17 1,000개
 

→ 벤더는 해당 날짜에 맞춰 지정 수량을 납품하게 됩니다.

💡 이 납기 일정은 MRP 결과에 따라 자동 생성도 가능해요!

 

 

 

MRP와의 연동은?

SAP Scheduling Agreement는 MRP와 직접 연동이 가능합니다.

즉, 수요가 발생하면 PR이 아닌 SA Schedule Line이 자동으로 생성되죠!

❝ 생산계획 → MRP 실행 → SA로 납기 자동 반영
→ 벤더는 사전에 계획된 일자에 납품만 하면 OK! ❞

 

 

 

실무 적용 예시 🎯

📦 자재: 플라스틱 용기 (ZBOX100)
📆 납기 계획: 매주 화요일 2,000개씩 2개월간

  1. ME31L로 Scheduling Agreement 생성
  2. 벤더: ABC Co., 계약 기간: 2025.06.01~2025.07.31
  3. 납기 일정: 6/4, 6/11, 6/18, … 에 각각 2,000개
  4. MRP 실행 시 자동으로 SA가 소싱되고, 수량이 반영됨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🟨 Q1. PO를 따로 안 만들어도 되나요?

→ 네, SA는 PO 없이도 납품 지시가 가능합니다.
MRP 또는 수동으로 Schedule Line을 추가하면 끝!

 

🟨 Q2. 금액 조건은 어디에 입력하나요?

→ Info Record(ME11) 에 단가를 등록해두면
Schedule Line에서 가격이 자동 반영돼요.

 

🟨 Q3. 소스 리스트 설정은 꼭 필요한가요?

→ 자동소싱을 원한다면 반드시 Source List(ME01) 에
SA를 연결해야 합니다!

 

 

 

핵심 요약 정리 📝

항목설명
생성 T-code ME31L
자동 납기 Schedule Line 생성으로 가능
자동소싱 Info Record + Source List 필요
MRP 연동 가능 (SA 납기 자동 반영)
장점 반복 발주 자동화, 공급 안정성 확보
 
 
 
 

📌 다음 주제는 "SAP MM에서 STO(Stock Transport Order) 프로세스"로 이어갈게요!
공장 간 자재 이동을 어떻게 처리하는지, 이해하면 물류 흐름이 확실히 정리됩니다 😊

꾸준히 따라오면 어느새 실무 고수!

 

SAP MM, 우리 같이 정복해봐요 💪🌟

 

 

 

반응형

지금 뜨고 있는 이야기들

챗GPT 한국어 설정, 챗GPT 한글 사용법

챗GPT 무료 와 챗GPT 유료 차이점과 GPT-4 무료 사용법

챗GPT 어플, 안드로이드 앱 설치와 사용법, GPT-4o 음성 대화, 무료 사용법

AI 썸네일 이미지 프롬프트, 이렇게 만들어요!

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