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기 납품 계약, SAP에서는 이렇게 관리해요!
Scheduling Agreement는 SAP MM에서
📦 특정 자재를 정기적으로, 정해진 일정에 따라 공급받는 장기 계약입니다.
❝ 단발성 계약이 아니라 반복되는 납품을 시스템에 자동으로 설정해두는 기능이에요. ❞
쉽게 말해, 한 번 계약해두면 매번 PO를 만들 필요 없이
자동으로 납기 스케줄(Schedule Line) 을 따라 납품이 진행됩니다.
✔️ 생산공정에 자주 들어가는 포장재, 부품, 필름 등
✔️ 일정 주기로 납품받는 소모성 자재
✔️ 매달, 매주 고정 수요가 있는 자재에 적합!
💡 반복 납품 + 자동화 = 스케줄 어그리먼트 도입 타이밍!
계약 번호 | ME31L에서 생성한 어그리먼트 번호 |
공급처 | 납품할 벤더 |
자재 정보 | 자재 번호, 플랜트 등 |
납기 일정 | Schedule Line에 수량과 날짜 입력 |
유효 기간 | 계약이 유지되는 시작일/종료일 |
🎯 필수 필드:
❝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소싱에서 제외되므로 날짜 설정에 주의하세요! ❞
예시:
2025.06.10 | 1,000개 |
2025.06.17 | 1,000개 |
→ 벤더는 해당 날짜에 맞춰 지정 수량을 납품하게 됩니다.
💡 이 납기 일정은 MRP 결과에 따라 자동 생성도 가능해요!
SAP Scheduling Agreement는 MRP와 직접 연동이 가능합니다.
즉, 수요가 발생하면 PR이 아닌 SA Schedule Line이 자동으로 생성되죠!
❝ 생산계획 → MRP 실행 → SA로 납기 자동 반영
→ 벤더는 사전에 계획된 일자에 납품만 하면 OK! ❞
📦 자재: 플라스틱 용기 (ZBOX100)
📆 납기 계획: 매주 화요일 2,000개씩 2개월간
🟨 Q1. PO를 따로 안 만들어도 되나요?
→ 네, SA는 PO 없이도 납품 지시가 가능합니다.
MRP 또는 수동으로 Schedule Line을 추가하면 끝!
🟨 Q2. 금액 조건은 어디에 입력하나요?
→ Info Record(ME11) 에 단가를 등록해두면
Schedule Line에서 가격이 자동 반영돼요.
🟨 Q3. 소스 리스트 설정은 꼭 필요한가요?
→ 자동소싱을 원한다면 반드시 Source List(ME01) 에
SA를 연결해야 합니다!
생성 T-code | ME31L |
자동 납기 | Schedule Line 생성으로 가능 |
자동소싱 | Info Record + Source List 필요 |
MRP 연동 | 가능 (SA 납기 자동 반영) |
장점 | 반복 발주 자동화, 공급 안정성 확보 |
📌 다음 주제는 "SAP MM에서 STO(Stock Transport Order) 프로세스"로 이어갈게요!
공장 간 자재 이동을 어떻게 처리하는지, 이해하면 물류 흐름이 확실히 정리됩니다 😊
꾸준히 따라오면 어느새 실무 고수!
SAP MM, 우리 같이 정복해봐요 💪🌟
SAP MM 소스 리스트 & 정보 레코드 완전 정리 (0) | 2025.06.05 |
---|---|
SAP MM Physical Inventory (실사 프로세스)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6.01 |
신입사원을 위한 SAP 모듈 소개 (0) | 2024.12.25 |
SAP MM 모듈 출하(Delivery) 및 공급업체 평가(Vendor Evaluation) (0) | 2024.10.24 |
GPT-4o 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사례 8가지 (0) | 2024.08.31 |
댓글 영역